제중신편

제중신편

[ 濟衆新編 ]

요약 1799년(정조 23)에 편찬된 의서(醫書).
구분 활자본, 의서
저자 강명길
시대 조선시대(1799)

활자본. 8권 5책. 조선 정조 때의 의관(醫官) 강명길(康命吉:1737∼1801)이 왕명을 받아 고금의 의서를 참고하여 만들었다. 편자의 발문(跋文)에 의하면, 주로 허준(許浚)의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수정을 가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내용은 《동의보감》 가운데서 상용(常用)의 의방(醫方)들을 발췌하여 풍한(風寒) ·서습(暑濕) ·조화(燥火) ·내상(內傷) ·허로(虛勞) ·신형(身形) ·정(精) ·기(氣) ·신(神) ·혈(血) ·몽(夢) 등 70여 목(目)에 걸쳐 그 맥법(脈法)을 든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병증(病症)을 분류하여 주로 《동의보감》의 방문(方文)을 채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양로(養老)의 편(編)과 약성가(藥性歌) 1편을 새로이 추가하였는데, 약성가는 주요 약물의 효용을 4언 4구로 엮어 기억하기에 편하게 한 것으로 원삼백삼수(元三百三首)와 증팔십삼수(增八十三首)로 되어 있다. 또한 약물의 이름을 한글로 풀이해 놓았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