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

정치학

[ politics , 政治學 ]

요약 정치 및 정치현상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

정치학은 그 기원이나 관심사에 있어서 기타의 여러 학문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즉 정치과정, 정치행태, 정치제도 및 기능, 정치사상 등을 연구하는 정치학자들이 제기하는 문제들은 다른 학문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주요 관심사이기도 하였다. 금세기까지 서유럽에서는 정치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주로 공공정부 및 정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정치학자 A.레니는 정부를 ‘특정사회에 있어서 법을 제정 ·집행하는 인사와 제도의 집합체’로 정의함과 동시에 정치를 ‘정부의 여러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정의함으로써 정부와 정치의 두 개념을 완전히 결합시키고 있다.

그러나 정치학자들은 정치를 보다 폭넓게 정의하고 있는데 이는 연구의 범위를 정부에 한정시키지 않고 더욱 확대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미국의 정치학자 H.D.라스웰은 ‘정치에 대한 연구는 영향력과 영향력을 가진 자들에 관한 연구’라고 주장한다. 또한 D.이스턴은 ‘어떤 사회를 위한 가치의 권위적 배분에 대한 연구’가 정치학의 주제라고 피력하고 있다.

정치학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 그들 스스로 공공문제를 분석하는 훈련 및 통찰력을 부여함으로써 그들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데 있다. 즉, 사람들은 그들 자신의 목적을 위하여 정치학의 지식을 이용함으로써 정치체계를 이해하려 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정치학은 학문적 발전을 거듭하였고 인간들의 여러 활동분야에 널리 적용됨에 따라 그 연구대상과 정치현상을 분석하는 방법 및 기술은 더욱 다양해졌다. 정치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의 문제의식이나 연구목적과 방법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치학의 범위를 정확하게 설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정치학이 가장 발달한 미국의 정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대체로 정치사 ·외교사 등의 역사분야를 제외하고는 ① 정치이론(정치이론, 정치사상사) ② 정치제도(헌법, 중앙정부, 지역 및 지방정부, 행정학, 정부의 경제적 ·사회적 기능, 비교정치제도) ③ 정치과정 또는 정당 ·집단 및 여론(정당, 집단과 결사, 시민의 정부와 행정 참여) ④ 국제관계(국제정치, 국제기구, 국제법) 등의 4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1974년 한국정치학회에서 국내외 정치학과 교과목을 비교 ·연구하고, 10개월에 걸쳐 전국 정치(외교)학과의 현행 교과목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여 교과목 모범시안을 연구 ·완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