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전등사 대웅전

강화 전등사 대웅전

[ Daeungjeon Hall of Jeondeungsa Temple, Ganghwa , 江華 傳燈寺 大雄殿 ]

요약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에 있는 전등사의 법당.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강화 전등사 대웅전

강화 전등사 대웅전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인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전등사 (온수리) / (지번)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시대 조선 광해군 13년(1621)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크기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

1621년(광해군 13)에 지은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 팔작(八作)지붕이다. 정면 3칸은 기둥 사이를 각각 동일한 길이로 분할하고 세 짝씩의 빗살문을 달았다. 좌우 측면은 벽을 치고 있으나 앞의 한 칸만은 외짝 열 개의 문이 있다. 공포(栱包)는 내부를 4출목(四出目), 외부를 2출목 내었으며 쇠서의 형태는 가늘고 약하게 길어지고 곡률(曲率)이 심한 편이다.

내부에는 장식적인 면이 좀 지나치게 발휘되었으며 대량(大樑)에 걸쳐 있는 충량(衝樑) 끝은 용두(龍頭)로 만들어져 있고, 또 화려하게 채색한 천장 주위에는 온통 극락조와 연꽃 등의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다. 불단 위의 닫집은 처마를 정자각(丁字閣) 모양으로 꾸미고 16포(包)나 되는 공포를 중첩해서 배열하고 있으며, 그 아래에는 부룡(浮龍) ·극락조 등을 매달아놓았다.

1916년 수리할 때 발견된 《양간록(樑間錄)》에는 1605년(선조 38) 불에 타버리고 1614년에 다시 불이 나 전소된 것을, 1615년에 개축하기 시작하여 1621년에 완성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참조항목

전등사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강화 전등사 대웅전 조선시대인 1621년(광해군 13)에 지은 전등사의 중심이 되는 법당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 팔작지붕이다. 정면 3칸은 기둥 사이를 각각 동일한 길이로 분할하고 세 짝씩의 빗살문을 달았다. 목조건물의 지붕을 올리는 공포는 다포계이며 처마에는 벌거벗은 인물의 형상이 지붕을 받치고 있다. 내부에는 불단 위에 닫집을 달았으며 처마를 정자각 모양으로 꾸미고 용과 극락조로 장식되어 있다. 1916년 전등사 대웅전을 수리할 때 발견된 《양간록》에는 1605년(선조 38)과 1614년(광해7)에 불이 나 두차례나 전소된 것을, 1615년에 개축하기 시작하여 1621년에 완성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