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도율

전기전도율

[ electric conductivity , 電氣傳導率 ]

요약 전기장이 가해졌을 때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물질의 능력으로, 비저항의 역수이고, 단위는 S(Siemens)/m 또는 1/Ωm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금속은 전기저항이 적어 전기전도도가 좋다.

전기전도도는 물질이나 용액이 전류를 운반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용액 중의 이온세기를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서 사용된다. 용액에 담겨 있는 2개의 전극에 일정한 전압을 가해주면 가한 전압이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이때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용액의 전도도에 의존한다.

전기전도도는 비저항의 역수로 구할 수 있으며, 주로 σ 로 표기한다.

σ = 1/ρ

단위는 비저항 단위의 역수(Ω-1m-1)로 나타낼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 S m-1 단위가 통용되고 있다.

전기전도도는 용액 속에 들어있는 이온의 농도 외에도 전극 사이의 거리, 전극의 단면적, 이온의 전하 크기, 온도 등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일반적으로 금속은 전기저항이 적어 전기전도도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