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

이선

[ 李選 ]

요약 조선 후기 숙종 때의 문신. 송시열의 문하생. 응교 때 노산군(단종) 묘소에 시제를 올리고 황보 인·김종서 등의 신원을 상소했다. 개성부유수·예조참판, 이조참판 등을 지내고 기사환국 때 귀양가 죽었다. 저서《지호집》등이 있다.
출생-사망 1632 ~ 1692
본관 전주
택지
지호 ·소백산인, 정간
활동분야 정치
주요저서 《지호집》

본관 전주(全州). 자 택지(擇之). 호 지호(芝湖) ·소백산인(小白山人). 시호 정간(正簡). 송시열(宋時烈)의 문하생. 1657년(효종 8) 진사를 거쳐 1664년(현종 5) 춘당대(春塘臺) 문과에 급제, 검열에 등용된 뒤 봉교(奉敎) ·정언 ·교리 ·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673년 응교로 재직 중 노산군(魯山君:단종)의 묘소에 시제(時祭)를 올리고 황보 인(皇甫仁) ·김종서(金宗瑞) 등의 신원(伸寃)을 상소하였다. 1675년(숙종 1) 형조참의로 있던 중 송시열이 쫓겨나고 남인(南人)이 득세하자 사직하였다가 1680년 경신환국(庚申換局)으로 서인(西人)이 집권하자 함경도관찰사로 등용, 3년 뒤 경기도로 전임하였다.

1686년 개성부(開城府)유수 ·예조참판을 역임,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이조참판을 지내고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서인이 숙청될 때 기장(機張)에 귀양가 죽었다. 1694년 신원되었다. 저서에 《지호집(芝湖集)》, 편서(編書)에 《시법총기(諡法摠記)》 《황강선생실기(黃岡先生實記)》 등이 있다.

역참조항목

만운유적, 지호집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