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곡

이상곡

[ 履霜曲 ]

요약 고려시대의 가요(歌謠).

작자 ·연대는 미상이다. 창녀의 노래라 하여 조선 성종(成宗) 때 《서경별곡(西京別曲)》 《쌍화점(雙花店)》 등과 아울러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로 배척되었던 속요(俗謠)이다. 그러나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실려 전하는 그 내용은 그다지 음란한 것이라 볼 수 없으므로, 혹시 성종 때 고쳐 지은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가사의 일부를 들면 다음과 같다. “비 오다가 개야 아 눈하 디신 나래, 서린 석석사리 조이상곡 본문 이미지 1 곱도신 길헤, 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두너즈세 너우지, 잠 이상곡 본문 이미지 2간 내니믈 너겨…”.

역참조항목

별곡, 쌍화점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