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이동

[ 李同 ]

요약 신라 경문왕 때 당나라에 간 숙위학생(宿衛學生). 발해의 오소도와 함께 빈공과에 급제하였다. 오소도가 장원, 그가 차석을 함으로써, 신라와 발해 간에 빈공과 쟁장사건이 일어나게 되었다.
출생-사망 ? ~ ?
활동분야 역사

869년(경문왕 9) 소판(蘇判) 김윤(金胤)이 사은겸진봉사(謝恩兼進奉使)로 당나라에 갈 때 동행하여 국학(國學)에 입학하였다. 875년 발해(渤海)에서 온 숙위학생 오소도(烏昭度)와 함께 빈공과(賓貢科)에 급제하였는데, 오소도가 장원하고 그가 차석을 함으로써 신라와 발해 간에 빈공과 쟁장(爭長)사건이 일어나게 되었으며, 906년에야 신라의 최언위(崔彦撝)가 오소도의 아들 오광찬(烏光贊)을 젖히고 장원함으로써 그 동안의 수치와 굴욕을 설원할 수 있었다. 이 사건은 신라와 발해의 관계를 더욱 경쟁적으로 몰아갔다.

참조항목

최언위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