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학교

음악학교

[ conservatory , 音樂學校 ]

요약 연주실기나 작곡, 음악이론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기관.
줄리아드학교

줄리아드학교

넓은 뜻으로는 음악교사의 양성기관도 포함된다. 명칭은 여러 가지이며 이탈리아어의 콘세르바토리오(conservatòrio)에서 유래한 것과, 아카데미·칼리지·스쿨 등이 그다지 실질적인 구별없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음악교육과 학교라는 조직을 결합시킨 것은 근세에 이르러서이며 그 이전에는 교회 내에서의 성가대교육과 개인적인 실기교육이 대부분이었다. 본래 보호시설을 뜻하는 콘세르바토리오가 16세기에 이르러 이탈리아에 설치되었을 때는 고아를 양육하고 음악교육을 함께 실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었다.

이와 같은 종류의 학교는 이탈리아에 많고, 특히 비발디가 일해 온 베네치아의 콘세르바토리오는 유명하다. 근대적인 음악학교 설립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은 프랑스혁명과 그 정신이며, 또한 1795년 파리에 설립된 콩세르바투아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계급을 불문하고 학교에서 음악교육을 실시할 것을 목적으로 한 조직체였다. 이와 같은 이념에 의한 것이 밀라노(1807)·프라하(1811)·빈(1817)·런던(1823) 등 유럽 각지에도 많이 설립되었다. 이들 음악학교는 연주실기와 그 이론의 조기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나 점차 그 목적과 조직이 다양하게 분리되었다. 예를 들면,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독일에서는 그 조직을 실질적으로 음악대학으로 승격시키고 연령·입학자격 등도 다른 일반대학과 마찬가지로 정하고 있다.

한편, 미국을 위시하여 오스트리아와 남아메리카 제국에서는 음악의 전문교육기관이 아니라, 종합대학에 이론만이 아닌 실기과정을 두는 학제가 보급되어 가고 있으며, 대학원도 많이 설립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줄리아드학교가 실기능력에만 치중하고 학위를 주지 않는 과정과 석사를 배출하는 과정을 두고 있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오늘날은 조기교육을 목적으로 한 음악학교와 수업연한이 긴 대학원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이 상반된 것처럼 보이는 요구는 연주 레퍼토리의 증대와 음악양식의 다양화라는 현상으로 더욱 강화되어 가는 경향에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