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훈련소

육군훈련소

[ 陸軍訓練所 ]

요약 육군에 입대한 신병들의 훈련기관.
구분 육군 훈련기관
설립일 1951년
설립목적 6·25전쟁 수행에 필요한 병력충원
주요활동/업무 신병에 대한 기초 군사훈련
소재지 충남 논산시 연무읍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11월 1일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鍊武邑)에 신병 기초군사훈련을 임무로 하는 육군본부 직할부대로서 기존의 제21교육연대와 교관단을 주축으로 ‘육군 제2훈련소’로 창설하였다. 그뒤 8개의 교육연대가 차례로 창설되어 9개 교육연대로 확장되었으며, 1952년 2월부터 각 교장에서 신병훈련을 시작하였는데, 교육기간은 전반기 8주, 후반기 4주씩 모두 12주였다. 1953년에는 훈련소 내에 여군교육대를 창설하고, 하사관교육대를 설치하는 등 교육대상이 확장되었고, 한국전쟁 수행에 필요한 병력충원에 크게 기여하였다.

1954년 9월 교육총본부 발족과 함께 그 예하에 들어갔다가 1960년 4월 제2군으로 예속·변경되었고, 1981년 10월 교육사령부가 창설되면서 그 예하로 있다가 1982년 12월 육군본부로 예속·변경되는 등 육군의 교육체계 및 교육환경 개선책에 따라 자주 부대 예속관계가 변경되기도 하였다. 1999년 2월 육군훈련소로 부대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일명 논산훈련소, 연무대라고도 한다.

신병교육기간은 현역·작전전경·경비교도가 5주간, 보충역·의무경찰·의무소방이 4주간이다.

병영시설로는 내무실, 연병장, 실내·외 강의장 및 샤워실, 의무실, 취사장, 화장실 등으로 각 교육연대마다 2,400∼3,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를 갖추고 있다. 초기의 훈련소 기구는 소장실, 참모장실, 각 교육지원부서와 교육연대, 수용연대, 지구병원, 근무지원대 등으로 편성되었는데, 이후에도 대체적으로 이러한 골격이 유지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