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집

유재집

[ 游齋集 ]

요약 조선 숙종대의 문신 유재 이현석(李玄錫:1647~1703)의 시문집.
구분 시문집, 고활자본
저자 이현석(李玄錫)
시대 조선 숙종 연간
소장 규장각,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활자본(후기 목활자). 24권 8책. 규장각도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 경위는 미상이다. 24권 가운데 11권이 시로서 비중이 매우 높은데, 파서록(坡西錄) ·수성록(隋城錄) 등 저자가 거쳐다닌 곳을 중심으로 제목을 붙여 놓은 것이 특징적이다. 상소 가운데 <춘천부진민막소(春川府陳民瘼疏)>는 춘천 지역의 조세 감면을 요청한 것인데, 이 지역의 토지 면적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청파붕당소(請破朋黨疏)>는 당시 심각해진 당론(黨論)의 폐해를 지적하고 이런 무익한 붕당간의 싸움을 종식시키고 급선무인 농사 진흥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논시사소(論時事疏)> 역시 붕당의 폐해로 인사와 형벌이 불공정함을 지적하였다. 당시 양반사회를 중심으로 한 사우계(四友楔) ·갑회(甲會) ·종계(宗禊) ·종반경회(宗班慶會) ·기로연(耆老宴) 등의 모습을 기록한 서(序) 등은 당시 사회 연구의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저자는 또한 강화도의 축성 방안을 제시한다든가, 봉수제도 운영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등 학문의 실용적인 측면에도 관심을 가졌다.

참조항목

이현석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