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수지

유수지

[ 遊水池 ]

요약 평지나 넓은 강물에서 일시적으로 홍수량의 일부를 저수하는 곳을 말한다. 근래에는 토지이용을 위해 하천을 제방으로 완전히 둘러싼다. 유수지의 물은 하천으로 되돌려 보내거나 갈수기때 이용하기도 한다.
계족산 유수지

계족산 유수지

그와 같은 유수지를 마련하기 위하여 평소에 준비해 두는 땅을 유수지(遊水地)라 한다. 옛날에는 무제방(無堤防) 또는 임시제방 등에 의하여 홍수를 하천에서 유수지로 끌어들였으나, 근년에는 토지이용의 입장에서 하천을 완전히 제방으로 둘러싸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방의 일부를 낮춰서 월류제(越流堤)를 설치하여 이용하는 곳이 많다. 저수한 물은 하천의 물이 감수함에 따라서 배수문(排水門) 또는 배수기(排水機) 등에 의하여 하천으로 되보낸다. 유수지가 황지(荒地)일 때는 유수를 그대로 저수해 두었다가 갈수기(渴水期)에 이용하도록 한다. 그런 경우 유수지는 조정지(調整池)의 역할을 한다. 서울의 한강 연안에 많은 유수지가 있으나 그것은 한강의 홍수를 유수시키는 것이 아니고, 내수 침수(內水浸水)를 모아 두었다가 배수하기 위한 배수시설에 불과하다.

참조항목

제방, 하천

역참조항목

배수, 조정지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