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국제도로망

유럽국제도로망

[ The International E-Road Network ]

요약 유럽 여러 나라의 관계를 긴밀히 하고 국제도로교통의 발전을 위한 도로망 계획으로 1975년에 기초한 “주요 국제교통간선에 관한 유럽 협정’(1983년에 8개국이 조인)에서는 간선 ·보조간선으로 이루어지는 국제도로망의 지정, 통일된 번호 부여, 통일된 표지 등을 정하였다. 국제도로망은 유럽 각국의 상호통상 ·문화교류 ·관광업 발전 등, 유럽의 일체적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1950년 UN의 유럽경제위원회는 ‘국제간선도로망 건설에 관한 선언’을 기초하여 아시아의 튀르키예까지 포함한 거의 모든 유럽 국가의 동의를 얻었다. 또, 1975년에 기초한 “주요 국제교통간선에 관한 유럽 협정’(1983년에 8개국이 조인)에서는 간선 ·보조간선으로 이루어지는 국제도로망의 지정, 통일된 번호 부여, 통일된 표지 등을 정하였다. 각 노선에는 각기 국내번호 외에 E라는 기호가 첫머리에 오는 번호를 붙여, 녹색 바탕에 흰색 글자로 쓰인 표지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남북방향의 간선은 서에서 동을 향해서 증가하는 2자리 홀수 번호, 동서 간선은 북에서 남으로 향하여 증가하는 2자리 짝수 번호로 표시된다. 그 중에서 골격을 이루는 주요 남북 간선의 번호는 5, 동서 간선의 번호는 0으로 끝난다. 또, 그 설계기준도 작성되어 최대한도의 도로규격의 통일을 꾀하고 있다. 최근 유럽연합(EU)은 그 일체화와 저개발 지역의 진보에 기여할 도로의 개선에 주력하고 있는데, 몽블랑 터널의 개량 등에 조성금을 내고 있는 것은 그 한 예이다. 또, 유럽지역개발기금에서도 지중해 연안 종합개발 프로그램 등, 국경을 초월하는 지역개발 계획의 도로 정비에 융자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국제도로망은 유럽 각국의 상호통상 ·문화교류 ·관광업 발전 등, 유럽의 일체적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역참조항목

유럽 국제도로망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