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선호설

유동성선호설

[ liquidity preference theory , 流動性選好說 ]

요약 J.M.케인스가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에서 전개한 이자율 결정 이론.

사람들이 자산을 보유할 경우 이를 증권 등의 투자의 형태로 가지지 않고, 화폐·당좌예금과 같은 유동적 형태로 가지는 것을 선택하는 욕구(화폐에 대한 수요)를 유동성 선호라고 한다. 증권 등의 구입에 의하여 화폐가 가지는 가치의 안정성·편리성이 상실되는 데 대한 대상(代償)으로 지급되는 것이 이자이고, 동시에 이자율은 사람들의 유동성 선호와 화폐당국에 의하여 결정되는 화폐공급량이 균형을 이루는 곳에서 결정된다고 하는 설이다.

케인스는 화폐보유의 동기로서 거래동기, 예비적 동기투기적 동기를 들고, 사람들이 이자를 낳는 증권 대신에 화폐를 보유하는 것은 화폐가 지니는 유동성의 수요 때문이라고 하였다. 화폐는 증권에 비하여 유동성이 높으므로 이자를 희생하여서라도 보유하려고 한다. 그러나 희생되는 이자수입이 클 때 유동성 선호는 작아진다. 한편, 화폐당국은 공개시장조작(公開市場操作)을 통하여 화폐의 공급량을 증감할 수 있어, 이자율의 저하 또는 상승을 가져온다. 이와 같이 화폐의 증감을 통하여 이자율의 변동이 가능해진다.

이를 그래프에서 보면, 거래·예비의 두 동기에 따른 화폐소유의 동기에 의한 화폐보유의 수요 M1은 주로 거래량이나 소득의 크기에 의존하고 있어 이자율과 무관하기 때문에 직선이 된다. 이에 비하여 투기적 동기에 의한 화폐의 수요량은 LL로 표시되듯이 이자율이 올라가면 채권의 수요가 늘고 이를 사기 위하여 화폐가 지출되어 화폐수요는 줄며, 이자율이 내려가면 채권가격이 올라가 화폐수요가 늘고 오른쪽이 내려가는 곡선이 된다.

화폐의 공급량을 M, 이자율을 r1로 하면 M M1에 비하여 투기적 동기에 의한 화폐수요 M2 M1이 적다. 그러면 M M2의 화폐가 채권을 사려고 지출되므로 채권의 가격은 올라가고 이자율은 내려간다. 이자율이 r0까지 내려가면화폐의 공급과 수요가 일치하여 이자율은 그 높이에 결정된다. 이와 같이 케인스는 유동성 선호와 화폐수량에 의하여 이자율이 결정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