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문사 석조여래좌상

청도 운문사 석조여래좌상

[ Stone Seated Buddha of Unmunsa Temple, Cheongdo , 淸道 雲門寺 石造如來坐像 ]

요약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조여래좌상.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청도 운문사 석조여래좌상과 사천왕석주

청도 운문사 석조여래좌상과 사천왕석주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운문사 (신원리)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크기 신체 높이 63cm, 대좌 높이 41cm, 광배 높이 92c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화강석제. 신체 높이 63cm. 대좌 높이 41cm, 광배 높이 92cm이다.

6각형 대좌 위에 앉아 있는 불상으로 머리는 나발(螺髮), 법의(法衣)는 통견(通肩)이다. 얼굴은 평면적이며 어깨는 약하게 보이고 가슴은 밋밋하다. 수인(手印)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였고, 광배(光背)는 주형(舟形) 거신광(擧身光)이지만 예전에 보이던 굴곡은 없어지고 투박스러울 뿐이다.

상대석은 평면타원형이며, 14개의 연화무늬가 앙련(仰蓮: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으로 조각되었고, 그 아래 양쪽으로 당초무늬가 있다. 중대석은 6각형으로 하대석과 1석으로 되었고, 하대석은 양쪽이 긴 6각형으로 연화무늬 18개가 조각되었다.

참조항목

보물, 운문사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