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번호

우편번호

[ postal code , 郵便番號 ]

요약 우편물의 수집 및 배달지역을 구분하는 우편구별 지역번호.
우편번호부

우편번호부

우편물의 앞면 수취인 주소란 위에 기입하는 지역구분 숫자로, 주소를 부호화한 것이다. 1962년 3월 독일(서독)에서 우편물의 구분운송을 합리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처음 실시하였고, 한국에서는 1970년 7월 1일부터 실시하였다. 집배우체국의 배달담당구역을 부호화하여 다섯 자리의 숫자로 실시하다가, 1988년 2월부터 여섯 자리 숫자로 바뀌었으며, 대형 빌딩과 우체국 사서함에도 우편번호를 부여하였다. 2014년 이후 도로명주소가 전면 시행되면서 우편번호도 여섯 자리에서 한자리를 줄인 다섯 자리로 개편하여 2015년부터 시행하였다. 새 우편번호는 서울부터 제주까지 순차적으로 부여하여, 5자리 중 앞의 3자리는 시·군·자치구를 구별하고 뒤 2자리는 연번으로 나타냈다.

이 제도를 채택하여 우편물을 우편번호별로 분류함으로써 우편물의 지역별 분류에 있어 전국의 산간벽지 등 어려운 지명을 모두 기억할 필요가 없게 되었으며, 알아보기 힘들게 기입된 주소의 판독도 쉬워져 분류의 실수로 인한 불필요한 중계나 배달착오가 적어졌고 송달업무가 더욱 신속하게 되었다. 또한 숫자만으로 분류하므로, 훈련을 받지 않고도 능률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연말 ·연시의 우편물 폭주에도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우편번호의 궁극적인 목적은 컴퓨터에 의한 자동분류처리이므로, 무엇보다도 규격봉투의 사용과 정확한 우편번호의 기재가 요구된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