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애조합

우애조합

[ Friendly Society , 友愛組合 ]

요약 17세기 후반 이후 영국의 노동자들이 생활불안에 대처하기 위하여 조직한 공제조합.
구분 공제조합
설립목적 영국 노동자들의 생활불안에 대처
주요활동/업무 조합원의 질병·노령·사망 등에 상호부조
소재지 영국

영국의 사회보장제도에 관한 역사적 배경을 고찰함에 있어 반드시 언급되어야 하는 분야가 우애조합과 노동조합의 공제(共濟)기능 또는 사회보장기능에 관한 것이다. 우애조합의 성격은 형태가 다양하고, 본질론(本質論)도 학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애조합은 노동자조합으로서 조합원이 정기적으로 일정한 갹출(醵出)을 부담하고, 질병·노령·사망 등의 경우에 상호부조를 행하는 조직이다.

우애조합에 관한 법률의 제정은 1793년 로즈법(Rose’s Act:An Act for the Encouragement and Relief of Friendly Society)이 처음이지만, 이 제도 자체는 이미 17세기 말부터 번성하였다. 우애조합법은 1869년까지 10차례 개정되었으며, 내용은 조합의 유지·장려·자율성 등을 주안점으로 하였다.

오늘날의 사회보장은 국가가 강제로 주관하는 사회보험과 공적 부조(公的扶助)의 통합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 정의이다. 이에 따르면 영국 우애조합의 공제기능과 구빈법(求貧法) 체계를 통합한 것이, 현대의 사회보장제도라고 할 수 있다.

역참조항목

노동운동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