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수

역수

[ inverse number , 逆數 ]

요약 0이 아닌 어떤 수 a에 대하여 1을 그 수로 나눈 수 1/a을 a의 역수라 하는데, 이것이 존재한다는 것은 곱셈의 역산으로서의 나눗셈이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어떤 수 a로 나누는 것은 역수 1/a을 곱하는 것과 같다.

0이 아닌 어떤 수 a에 대하여 1을 그 수로 나눈 수 1/a을 a의 역수라 한다. 즉, 두 수의 곱이 1이 될 때 그 수들은 서로 역수가 된다. a가 분수일 때 그 역수는 분모와 분자를 교환한 것이 되는데, 이를테면 3/4의 역수는 4/3가 된다.

또, 역수가 존재한다는 것은 곱셈의 역산으로서의 나눗셈이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어떤 수 a로 나누는 것은 역수 1/a을 곱하는 것과 같다. 역수의 역수는 원래의 수와 같고, 두 수의 곱의 역수는 각각의 역수의 곱과 같다.

참조항목

역원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