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벽

안벽

[ quay wall , 岸壁 ]

요약 선박을 대기 위하여 항만의 수제선(水際線)에 설치하는 계선안으로 그 앞면이 거의 연직인 벽을 가진 구조물 중 수심이 큰 것(4.5m 이상)을 말하는데 본선을 계류해서 육상과의 사이에 직접 여객이 승강하고 화물을 싣거나 풀기 위한 설비이다. 구조상의 종류는 중력식 ·널말뚝식 ·선반식 ·셀식 등이 있다.
안벽

안벽

그 앞면이 거의 연직인 벽을 가진 구조물 중 수심이 큰 것(4.5m 이상)을 안벽이라 한다. 본선을 계류해서 육상과의 사이에 직접 여객이 승강하고 화물을 싣거나 풀기 위한 설비이다. 안벽과 같은 구조물로서 바지(barge:부선) ·기타 소형선을 계류하기 위한 설비를 선창이라고 한다. 안벽은 육상의 옹벽(擁壁)과 마찬가지로 배후가 토사로 채워져 있고 따라서 그 토압(土壓)을 지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선박이 도착할 때의 충격이나 선박을 계류하기 위한 견인력에 견디고 지면 위에 놓인 기계류 ·화물 등의 하중도 지탱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들의 외력에 대해서 안전하고 동시에 경제적으로 건설하기 위해 그 장소의 상황 등에 따라 적당한 형식과 구조를 선정한다.

구조상의 종류는 중력식 ·널말뚝식 ·선반식 ·셀식 등이 있다. 중력식 안벽은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등의 상자나 블록을 조합해서 축조한 벽체를 주체로 한 안벽으로 벽의 자중(自重)에 의하여 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지탱하는 것이며, 그 자중 때문에 연약지반에는 부적당하고 내진구조(耐震構造)로 하기 어렵다. 다른 세 양식은 모두 강철널말뚝을 사용하는 것으로 연약지반이나 지진에 대한 공법도 비교적 간단하다. 다만, 강철널말뚝 단면의 크기에 한도가 있기 때문에 앞면 수심이 특히 큰 안벽은 축조할 수 없으며, 강철이 염수에 용식하지 않도록 전기방식(電氣防蝕) 등을 할 필요가 있다.

선반식은 수심이 비교적 클 경우에 널말뚝식 위에 선반을 추가한 형이나 최근 단면이 큰 상자형 널말뚝이 개발되어 이 양식은 앞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셀식은 강철 또는 철근콘크리트 널말뚝을 축조해서 세운 벽을 주체로 한 구조물로, 수심 8m 이하의 경우 또는 비교적 쉬운 안벽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널말뚝 대신에 지름 10여 m의 큰 강관(鋼管)을 대형 크레인선으로 설치한 것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