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연도금철판

아연도금철판

[ galvanized steel sheet , 亞鉛鍍金鐵板 ]

요약 녹은 아연이 들어 있는 탱크에 철판을 넣고 표면에 얇은 아연층을 입힌 것으로 함석이라고도 하며 함석 표면에 보이는 큰 꽃 모양의 무늬는 아연의 결정(結晶)이다. 건축자재, 가솔린통 등을 만들 때 쓰인다. 

함석이라고도 하며, 주석을 입힌 양철과 함께 잘 알려져 있다. 함석 표면에 보이는 큰 꽃 모양의 무늬는 아연의 결정(結晶)이다. 외관은 양철보다 나쁘고 산에 약하나, 철의 내식피복(耐蝕被覆)으로서는 양철보다 우수하며, 일부가 벗겨져도 아연이 전기화학적으로 녹기 쉬우므로 먼저 녹아 속의 철판을 부식으로부터 지켜준다.

용도는 지붕 등의 건재(建材)를 비롯하여 가솔린통 등에 사용된다. 알루미늄판에 비해 값이 싸며, 두꺼운 것에 도장(塗裝)을 충분히 함으로써 내구성(耐久性)을 얻을 수 있고 물매가 완만한 지붕에도 긴 것을 사용하면 빗물이 잘 빠져 흐르고 외관도 근대적이므로 지붕재로 많이 사용된다. 또 방화건축(防火建築)의 벽재(壁材)로서 사용되며, 공장건축에도 사용된다.

모양으로는 평판(平板)과 파형판(波形板), 코일이 있으며, 크기나 두께 등에 대해서는 한국산업규격으로 정해져 있다(KS D 3506). 건재용으로는 두께 0.25~0.42 mm의 것이 많이 사용되며, 특히 지붕재료는 0.40 mm의 것이 좋다.

역참조항목

아연, 음극화보호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