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수라

아수라

[ Asura , 阿修羅 ]

요약 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수호신인 팔부신중 가운데 하나.

팔부신중(八部神衆) 가운데 하나인 불교의 수호신이다. 보통 세 개의 얼굴과 여섯 개의 팔을 지닌 삼면육비(三面六臂)의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여덟 개나 네 개의 팔을 지닌 삼면팔비(三面八臂)나 삼면사비(三面四臂)의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다. 조로아스터교의 문헌인 《아베스타(Avesta)》에 등장하는 아후라(Ahura)와 일치하는 존재로서, 고대에 중앙아시아와 이란 지역에서 숭배되던 태양신이 인도아리아인의 인도 진출과 함께 인도 신화에 수용되었다가 불교 신화에까지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수라(Asura)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숨, 생명’을 뜻하는 ‘아수(asu)’에서 비롯된 명칭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점차 힌두교의 주신들과 대립하는 악신(惡神)의 일족으로 여겨지게 되면서 천계의 신들을 뜻하는 ‘수라(sura)’에 부정을 뜻하는 ‘아(a)’라는 접두어가 붙어서 만들어진 것으로 해석하는 속설도 나타났다. 그래서 한자로 비천(非天)·비류(非類) 등으로 옮겨지기도 했다.

한자로는 인도어의 음을 따서 아수라(阿修羅)·아소라(阿素羅/阿蘇羅)·아소락(阿素洛)·아수륜(阿須倫/阿須輪)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되었다. 특히 중국에서는 ‘아(阿)’를 이름 앞에 붙이는 접두사로 사용하므로,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줄여서 ‘수라(修羅)’라고 나타내 오기도 했다.

인도 신화에서의 아수라

아수라는 인도의 많은 신들 가운데에서도 가장 이른 시기부터 숭배되었던 신으로 베다 시대 초기까지만 해도 생명과 생기(生氣)를 관장하는 선신(善神)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힌두교의 주신들인 브라흐마(Brahma)·비슈누(Vishnu)·시바(Shiva) 등에 대한 숭배가 확립되면서 점차 이 신들과 대립하는 악신과 그의 일족들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아수라와 신들 사이의 전쟁이 인도 신화의 중요한 근간을 이루게 되었다.

《리그베다(Rigveda)》 등에서는 아수라가 신족인 데바(Deva)들의 왕인 인드라(Indra)와 대립하는 바루나(Varuna)와 그 일족을 가리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후대로 가면서 아수라는 신들과 세상의 지배권을 놓고 다투는 다나바(Danava) 일족이나 다이티야(Daitya) 일족 등에 속한 브리트라(Vritra)와 같은 악신과 괴물들을 가리키게 되었다.

불교 신화에서의 아수라

불교는 인도의 신화를 수용하여 그것에 등장하는 신들을 부처의 가르침에 감화하여 불법을 지키는 신장(神將)들로 변화시켰다. 그러면서 그 신들을 천룡팔부(天龍八部)나 팔부중(八部衆)이라고 불리는 8개의 종족으로 구분하여 ‘팔부신중’이라고 하였는데, 아수라도 야차(夜叉)·건달바(乾闥婆)·가루라(迦樓羅) 등과 함께 팔부신중의 하나로 여겨지게 되었다. 초기 대승불교의 경전인 《법화경(法華經)》에는 부처의 설법을 들으려고 모인 팔부(八部)의 중생들을 묘사하면서 바치 아수라왕(婆稚阿修羅王)·거라건타 아수라왕(佉羅騫馱阿修羅王)·비마질다라 아수라왕(毘摩質多羅阿修羅王)·나후 아수라왕(羅睺阿修羅王)이라는 네 명의 아수라왕이 저마다 수많은 일족과 함께했다는 내용이 전해진다.

불교 전승에서 아수라는 수미산(須彌山) 북쪽에 살면서 제석천(帝釋天)과 싸움을 영원히 계속하는 존재로 등장한다. 불교의 초기 경전인 《아함경(阿含經)》에는 천계에 사는 여러 신들의 수장인 제석천(帝釋天)이 아수라의 딸인 사지(舎脂)를 허락 없이 취하면서 그들의 싸움이 시작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아수라가 제석천과 싸운 장소를 아수라장(阿修羅場)이라고 하는데, 이 말은 싸움과 같은 일들이 벌어져서 매우 시끄럽고 혼란한 장소나 상태를 비유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그리고 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는 중생이 깨달음을 얻지 못하고 윤회할 때 지은 업보에 따라 태어나는 세계를 여섯 가지로 나눈 6도(六道) 가운데 하나로 아수라도(阿修羅道)를 두었다. 축생도(畜生道)와 인간도(人間道) 사이에 있는 아수라도에는 교만심과 시기심이 많은 사람이 죽어서 가게 되는데, 그곳에서는 모두가 무기를 지니고 싸움만 계속해야 한다.

 

참조항목

라후, 삼계, 아수라장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