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스 헨리크 아벨

닐스 헨리크 아벨

[ Niels Henrik Abel ]

요약 노르웨이의 수학자. ‘아벨의 적분(積分)’ ‘아벨의 정리’ ‘아벨방정식’ ‘아벨군(群)’ 등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많은 수학용어가 그의 이름을 따서 불린다.
출생-사망 1802.8.5 ~ 1829.4.6
국적 노르웨이
활동분야 수학
출생지 노르웨이 오슬로 근교 핀란드

오슬로 근교 핀란드 출생. 가난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18세 때 아버지를 잃고 가난과 싸우면서도 수학공부에 뜻을 두었다. 다행히 훗날 《아벨 전집》을 편집한 친구 B.M.홀름보에의 도움으로 크리스티아니아대학(지금의 오슬로대학)에서 공부할 수 있었다.

19세 때 그때까지 약 3세기 동안 수학상의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던 5차방정식의 대수적일반해법(代數的一般解法)을 연구하여, 그 불가해성(不可解性)을 증명하였다. 5차방정식에 관한 논문을 자비(自費)로 인쇄하여 그 일부를 당시 수학계의 제1인자였던 K.F.가우스에게 보냈으나, 가우스는 그것을 읽어 보지도 않고 쓰레기통에 버렸다고 한다.

1822년 크리스티아니아대학을 졸업한 아벨은 홀름보에의 주선으로 정부 보조금을 얻어 수학연구를 계속하였으며, 1825년 독일과 프랑스에서 유학할 수 있었다.

독일 괴팅겐에 가우스가 있었기 때문에 아벨은 괴팅겐을 피하여 베를린으로 갔고, 그곳에서 A.L.크렐레를 만났다. 크렐레는 아벨의 도움을 얻어 1826년에 수학연구의 전문지인 《순수수학 및 응용수학 잡지》를 창간하고, 여기에 아벨의 논문을 게재하여 그 업적을 세상에 소개하였다. 아벨은 이어 프라이부르크, 드레스덴, 빈 등을 거쳐 이탈리아, 스위스, 프랑스 파리로 갔으며, 그 사이에 ‘아벨의 정리(定理)’를 포함한 타원함수론을 정리하여 파리에 있는 프랑스 학사원(學士院)에 제출하였다.

그러나 그곳에서도 인정을 받지 못한 채 병에 걸려 이듬해인 1827년 베를린을 거쳐 귀국하였다. 귀국 후에도 연구를 계속하여 타원함수론에 관한 우수한 논문들을 발표하였다. 1829년 1월 건강 악화에도 프랑스 학사원에 제출했던 미발표 논문의 사상을 발전시켰고, 결국 대수함수(代數函數)에 관한 ‘아벨의 정리’를 증명한 논문을 베를린의 크렐레에게 보냈다.

이 무렵에야 그의 업적이 수학계에 알려져 높이 평가되었고, 베를린대학에서 그를 교수로 초대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 초대장을 받기 이틀 전 아벨은 26세의 나이로 숨졌다. 그의 이름은 ‘아벨의 적분(積分)’ ‘아벨의 정리’ ‘아벨방정식’ ‘아벨군(群)’ 등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많은 수학용어 속에 살아 있어 수학계의 불후의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