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진법

십이진법

[ duodenary , 十二進法 ]

요약 0, 1, 2, …,11의 12개의 숫자를 써서, 12씩 한 묶음으로 하여 1자리 올려가는 방법이다. 이를테면 1타(다스)는 12개, 1피트는 12인치가 있으며, 수의 표시로는 십진법보다 우수하다.

0, 1, 2, 3, 4, 5, 6, 7, 8, 9, e, i(e는 10, i는 11을 나타낸다)인 12개의 숫자를 써서, 12씩 한 묶음으로 하여 1자리 올려가는 방법. 12는 2, 3, 4, 6의 인 관계로 편리하기 때문에 생겨났으며, 로마시대에 사용되었다.

현재도 시간, 기타 단위에서 십이진법에 해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테면 1타는 12개, 1는 12타(122=144개), 1피트는 12에 해당하는 것 등이다. 10이 2와 5의 배수인 것에 대하여, 12는 2, 3, 4, 6의 배수이므로, 수의 표시법으로서는, 십이진법이 보다 우수하다고도 한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