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계곡산대지

신계곡산대지

[ 新溪谷山臺地 ]

요약 황해북도 신계군·곡산군·수안군에 걸쳐 있는 용암대지.

미루평야·신계곡산평야라고도 한다. 면적 420㎢, 평균높이 200m, 길이(곡산군~평산군 사이) 50㎞이며 너비는 남강~예성강(례성강)의 분수령 일대 사이에서 20㎞, 신계군 이남 예성강 하곡에서 약 5㎞이다. 전체 면적에서 신계군이 50.5%, 곡산군이 31.4%, 수안군이 18.1%를 차지한다.

신생대 제3기 말에서 제4기 초에 화산분출로 여러 곳에서 현무암이 흘러내려 형성된 평탄한 용암대지이다.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길쭉하게 놓여 있으며 높이는 남강~예성강 분수령 일대에서 262m이다. 이곳에서 예성강 하곡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면서 점차 낮아져 남쪽 말단부의 높이는 65m에 불과하다.

표면이 많이 침식된 물결모양의 구릉성 평야로 상대 높이 80~130m, 면적 0.2㎢ 정도의 잔구들이 흩어져 있다. 잔구에는 주로 소나무숲이나 초지가 분포한다. 토양은 갈색산림토이고 강산성을 띤다. 이 일대의 연평균기온은 8.9~9.2℃, 연평균강수량은 1,200~1,300mm이다. 첫서리는 9월 20일경, 마지막 서리는 4월 20일경에 내리며 연중 거센 바람이 자주 분다.

이 지역에는 하천이 발달하지 않았으나 주변지역은 남강의 좌안 지류인 곡산천과 예성강의 여러 지류에 의하여 두부침식되고 있다. 신곡저수지·산북저수지 등의 여러 저수지가 있으며 이 저수지물을 이용하여 신계군·곡산군·수안군 일대 2만 여 정보의 경작지에 관개용수를 공급한다.

대부분 불모지였으나 대규모 개간이 이루어져 경작지가 평야 면적의 약 50%를 차지하며 그 중 논이 30%, 밭이 63%, 과수원이 6%, 뽕밭이 1%이다. 이 일대에서는 옥수수·쌀·콩 등과 배추·무 등의 채소를 재배하며 돼지·소·양 등의 가축을 기른다. 북부에는 평양~원산 간 관광도로가 동서 방향으로, 중부에는 정봉~곡산 간 도로가 남북 방향으로 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