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clipse , ]

요약 어떤 천체가 다른 천체의 그늘에 들어가거나 뒤로 가려지는 현상을 말한다.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할 때를 월식이라 하며 달이 태양을 가릴 때를 일식이라 한다. 달이 그 뒤에 있는 항성 혹은 행성을 가리는 때를 성식이라 한다. 특히 일식과 월식은 고대민족, 미개민족 간에 많은 신화와 전설을 남겼다.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할 때 일어나는 월식, 달이 태양을 가릴 때 생기는 일식 등이 대표적인 식현상이다. 또, 달과 별의 식현상, 즉 달이 그 뒤에 있는 항성(드물게는 행성)을 가리는 성식(星蝕)이 있는데, 이것을 엄폐라 한다. 내행성(수성 ·금성)이 태양면의 일부를 가리는 일면통과(日面通過)도 식현상의 일종이다.

목성위성식(衛星蝕)도 옛날부터 관측되었는데, 이에 의해서 위성들의 궤도를 결정할 수 있었다. 덴마크의 O.뢰머는 1675년 목성의 위성식이 일어나는 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빛의 속도를 처음으로 측정하였다. 두 개의 항성이 공통무게중심 주위를 돌고 있는 쌍성들 중에는 두 별이 관측자의 시선(視線) 위에 나란히 놓여 한 쪽의 빛을 가리는 식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두 항성의 밝기의 합은 주기적으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쌍성을 식쌍성이라 하는데, 밝기의 변화를 이용하면 두 항성의 크기나 궤도 등을 구할 수 있다.

식 본문 이미지 1

참조항목

식쌍성, 엄폐, 월식, 일식

역참조항목

공통무게중심, 역상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