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

승진

[ promotion , 昇進 ]

요약 현재 담당하고 있는 직무보다 책임과 권한이 한층 무거운 상위의 직위로 이동하는 일.

승진은 상위의 직위로 이동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책임과 권한의 다른 직위로 수평적으로 이동하는 배치전환(配置轉換:transfer)과 구별된다. 승진에는 권한과 책임의 증대뿐만 아니라 위신의 증대, 급여나 임금의 증가 등이 뒤따르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승진은 종업원에게 동기를 부여하여 근로의욕을 증진시키고, 종업원의 잠재능력을 발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기준은 본질적으로 업적 및 성과와 장래에 있어서의 능력발휘에 대한 기대가능성이다. 이러한 기준이 적용됨으로써 비로소 능력주의(能力主義) 내지 실력주의에 따른 인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승진 결정의 기초로는 정실주의(情實主義)·연공주의(年功主義)·학력주의(學力主義)·능력주의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종래의 정실주의를 배격하기 위하여 연공주의와 학력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연공승진제도가 주로 채택되어 왔다. 연령과 학력은 극히 객관적인 척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는 능력주의의 도입이 급속하게 진전되어 감독직까지의 승진에는 연공과 학력이 아직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관리직으로의 승진 이후로는 능력주의가 완전히 지배적으로 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승진 인사에 대하여 공평과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근속연수와 함께 각인의 능력개발의 진전에 따라 승진을 행하는 경로를 미리 계획하여 승진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가는 계획적 승진제도(計畵的昇進制度:planned promotion system)를 확립해야 한다.

참조항목

승급, 인사이동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