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경

순경

[ 順璟 ]

요약 신라 중기에 당나라에 가서 현장(玄奘)의 강론을 듣고 통달하였다. 귀국 후 많은 책을 썼다. 그 중《법화경요간(法華經料簡)》 《유식론요간(唯識論料簡)》 등이 전해진다.
출생-사망 ? ~ ?
활동분야 종교
주요저서 《법화경요간》 《유식론요간》

낭군(浪郡) 출생. 667년(문무왕 7) 당(唐)나라에 가서 현장(玄奘)에게 신역(新譯)《유식론(唯識論)》 및 《유가론(瑜伽論)》의 강론을 듣고 거기에 통달하였다. 귀국하여 책을 많이 썼는데, 그 중에는 중국에 건너간 책도 있다. 그 종지(宗旨)는 《법상대승료의교(法相大乘了義敎)》에 나온 것들이었다.

기원사(祇園寺) 주지로 있을 때, 군공(軍功)은 많았으나 대우를 못 받고 있는 열기(烈起)를, 재상 김유신(金庾信)의 아들 삼광(三光)에게 천거하여 태수(太守)를 시켰다. 저서에 《법화경요간(法華經料簡)》 《유식론요간(唯識論料簡)》 등이 있다.

참조항목

유식사상

역참조항목

법상종, 직하지학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