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건성잉크

속건성잉크

[ high speed drying ink , 速乾性─ ]

요약 인쇄 직후 바로 건조하는 잉크를 뜻한다. 아크릴기(基) 반응을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 잉크가 1970년대 사용되었지만 건조 후에도 비반응 물질이 잔류하고 값이 비싼 결점이 있었다. 이를 개량한 전사선 경화형 잉크가 1980년대부터 실용화되었는데, 이것은 반응성 단위체(monomer) 또는 저중합체(oligomer)를 이용해 증감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속건성을 이룰 수 있다.

아크릴기(基) 반응을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 잉크가 1970년대 사용되었지만 몇 가지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자외선 경화형 잉크의 결점으로는 자체적으로는 쓸 수 없고 증감제 등을 병용했기 때문에 잉크가 건조된 후에도 비반응 물질이 잔류하는 속성을 가졌으며, 값이 비싼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점을 개량한 전사선 경화형 잉크가 1980년대부터 실용화되었다. 전사선 경화형 잉크는 반응성 단위체(monomer) 또는 저중합체(oligomer)를 이용해 증감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속건성을 이룰 수 있다.

참조항목

잉크

역참조항목

아닐린인쇄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