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시

소부시

[ 小府寺 ]

요약 고려시대에 공기(工技)와 보장(寶藏)을 맡아보던 관청.

태조 때 물장성(物藏省)으로 창설되어 960년(광종 11)에 보천(寶泉)·소부감(小府監), 1298년(충렬왕 24)에 내부감(內府監), 1308년에 선공사(繕工司)에 병합된 후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소부감으로 분리. 1362년에 비로소, 소부시라 하였다. 그러나 다시 1369년에 소부감, 1372년 소부시로 환원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에 이를 폐지하고 내부시(內府寺)에 병합하였다.

관원은 충혜왕 때 판사(判事:정3품), 윤(종4품), 승(丞:종6품), 주부(注簿:종7품) 등을 두었으며, 이속(吏屬)으로 감사(監史) 6명, 기관(記官) 4명, 산사(算士) 1명 등을 두었으나, 기구의 개편이 잦아 관원의 배치도 변동이 많았다.

참조항목

관청, 군자시, 소윤

역참조항목

감사, 내부감, 물장성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