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장수

설장수

[ 偰長壽 ]

요약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위구르족 출신의 귀화인이다. 중국어와 몽고어에 모두 능통해 중국과의 외교와 사역원의 교육을 체계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출생-사망 1341 ~ 1399
본관 경주(慶州)
천민(天民)
운재(芸齋)
시호 문정(文貞)
별칭 연산부원군(燕山府院君)
출생지 중국 고창(高昌)
주요저서 <직해소학(直解小學)>, <운재집(芸齋集)>

자(字)는 천민(天民), 호는 운재(芸齋)이다. 투르크 계통의 위구르족(Uighur) 출신으로 1396년(태조 5) 태조 이성계(李成桂)에게 계림(鷄林, 경주)을 관향(貫鄕)으로 삼도록 사성(賜姓)되어 경주 설씨의 실질적인 시조(始祖)가 되었다.

오늘날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에 속한 실크로드의 교역도시인 고창(高昌)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인 설손(偰遜)은 원나라에서 숭문감 승(崇文監丞)을 지냈다. 1359년(공민왕 8) 원나라 말기의 혼란을 피해 아버지 설손과 동생인 설미수(偰眉壽) 등과 함께 고려로 건너왔는데, 공민왕(恭愍王)은 과거 알고 지내던 설손에게 토지와 주택을 제공하고 부원군(富原君)으로 삼았다. <조선왕조실록>의 기사(세종 7년 1월 16일)에는 설장수의 조카이자 시강관(侍講官)으로 있던 설순(偰循)이 세종의 질문에 대해 설장수가 19세에 고려로 왔으며, 오기 전에 이미 한국어를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고 대답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위구르계의 귀화인으로서 몽고어와 중국어에 모두 능통했던 설장수는 고려 조정에서 중용되어 중국과의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1362년에 22세의 나이로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밀직제학(密直提學)에 이르렀으며, 완성군(完城君)에 봉해지고, 추성보리공신(推誠輔理功臣)의 호를 받았다. 1387년에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로 명나라로 사신으로 파견되었고, 이듬해에도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명나라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1389년에는 이성계, 심덕부(沈德符), 지용기(池湧奇), 정몽주(鄭夢周), 성석린(成石璘), 조준(趙浚), 박위(朴葳), 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우왕(禑王)과 창왕(昌王)을 폐위하고 공양왕(恭讓王)을 세우는 병란(兵亂)을 주도하여 그들과 함께 이른바 ‘9공신(功臣)’으로 불렸다. 그래서 이듬해 충의군(忠義君)으로 봉해지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가 되었다. 그리고 1392년에는 정난공신(定難功臣)의 칭호를 얻었으며, 판삼사사(判三司事)로서 지공거(知貢擧)를 겸했다.

그러나 그해 이성계가 스스로 왕위에 올라 조선을 건국한 뒤에는 우현보(禹玄寶), 이색(李穡) 등과 함께 도당을 결성하여 반란을 모의했다는 죄로 서인(庶人)으로 강등되어 장기(長鬐, 지금의 경상북도 영일군)로 유배되었다. 1393년에 사면되었으며, 곧바로 사역원 제조(司譯院提調)로 다시 등용되었고, 이듬해 사역원의 운영과 생도의 선발, 교육과정 등에 대한 정책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태조와 친분이 두터워 1396년에는 다시 판삼사사(判三司事)의 직위에 올랐으며, 연산부원군(燕山府院君)으로 봉해졌다.

그는 1396년 사은사(謝恩使)로 중추원 부사 신유현(辛有賢)과 함께 명나라로 파견되었으며, 1397년에는 권근(權近)과 함께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추록되었다. 하지만 그해 종묘 납향제(宗廟臘享祭) 헌관(獻官)으로 삼사(三司)의 서약 의식에 지각해 파면되기도 하였으나 이듬해 다시 벼슬에 올라 월성군(月城君)으로 봉해졌다.

1398년 태조에 이어 정종이 즉위하자 계품사(計稟使)로 명나라로 파견되었으나, 도중에 명나라 홍무제(洪武帝)가 죽자 진향사(進香使)로 다시 임명되어 명나라로 갔다. 이처럼 그는 모두 8차례나 사신으로 명나라를 방문해 중국과의 외교에 커다란 역할을 담당했으며, 중국어로 <소학(小學)>을 해석한 <직해소학(直解小學)>을 저술하여 당시 <노걸대(老乞大)>, <박통사(朴通事)> 등에만 의존하던 중국어 교육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명나라에 파견되었다가 1399년 6월에 귀국한 설장수는 그해 11월 16일에 5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그는 언변이 뛰어나며 시와 글씨에도 능했다고 전해지며 문집으로는 <운재집(芸齋集)>이 있다. 사후에 문정(文貞)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참조항목

구공신,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