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군정서

서로군정서

[ 西路軍政署 ]

요약 1919년 5월 만주에서 조직된 무장독립운동단체.
지청천

지청천

구분 군정부
설립일 1919년 5월
설립목적 무장독립투쟁
주요활동/업무 독립군 양성, 일제통치기관 파괴, 민족반역자와 친일파 처단
소재지 만주
규모 신흥무관학교 졸업생 2천 명, 의용군 제1중대 800∼900명

1910년을 전후하여 이상룡(李相龍)·이시영(李始榮)·김창환(金昌煥) 등은 교포 자치기관으로 경학사(耕學社)를 조직하고 애국청년들을 양성하기 위한 신 흥학교(新興學校)를 설립하였으며, 경학사는 1912년 부민단(扶民團)으로 발전하 였다. 1919년 3·1운동 이후 독립선언식을 거행하고, 효과적인 독립운동을 전개 하기 위한 통일적인 독립운동기구의 필요성을 느낀 부민단은 1919년 4월 유하현 (柳河縣)·퉁화현[通化縣] ·싱징현[興京縣] ·환런현[桓仁縣] ·지안현[輯安縣] 등 각 현의 지도자들과 유하현 삼원보(三源堡)에 모여 한족회(韓族會)를 조직하고 산하단체로 남만주 독립운동의 총본영인 군정부(軍政府)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더불어 군정부의 명칭이 문제가 되자, 대한 민국임시정부에서 파견한 안정근(安定根)·김병헌(金炳憲)의 제의로 1919년 5월 대한민국임시정부 관할하의 서간도 군사기관인 서로군정서로 확대, 개편하였다.

서로군정서 본문 이미지 1서로 군정서군북로 군정서군안무최진동홍범도박장호조맹선조병준지청천김동삼이상룡서일이범석김좌진대한대한 독립단광복군 사령부

조직은 독판제(督辦制)에 의해, 독판부(督辦府) 아래 사령부·참모부(參謀部)· 정무청(政務廳)·군무청(軍政廳) 등을 두었다. 주요 간부에는 독판부 독판 이상 룡, 부독판 여준(呂準), 정무청장 이탁, 군무청장 양재훈(梁在薰), 참모 부장 김동삼(金東三), 사령관 지청천(池靑天), 내무사장 곽문(郭文), 법무사장 김응섭(金應燮), 재무사장 남정섭(南庭燮), 학무사장 김형식(金衡植), 군무사장 양규열(梁圭烈)이 임명되었다.

1919년 5월 3일 신흥학교를 신흥무관학교로 개편하는 한편, 치다오거우[七道 溝]· 콰이다마오쯔[快大帽子]·구산쯔[孤山子]·허둥쯔[河東子]에 분교 를 두었다.

하사관 3개월, 장교 6개월, 일반독립군 1개월 과정의 군사훈련을 실 시하였으며, 1920년 8월 폐교될 때까지 2천 명이 넘는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예 하부대로 대한민국임시정부 직속 의용군이 편성되었으며, 백광운(白狂雲)의 의용군 제1중대는 그 수가 800∼900명에 이르렀다.

재정은 한족회원의 헌금을 바탕으로 평안도, 경상도 지방에서 모집한 군자금으로 유지되었으며, 국내 및 서간도 지역의 일제통치기관을 습격, 파괴하고 민족 반역자와 친일파를 처단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5월 삼수군(三水郡)의 영성주재소, 7월 강계군의 삼강주재소와 문옥면사무소를 습격한 것을 비롯하여  1920년 5월 문상식(文相植) 등이 경북 지역에서 관공서를 폭파하였다.

1920년 8월 김동순(金東淳)·한우석 (韓愚錫) 등이 조선총독부 총감을 처단하고 일제기관을 폭파하려다가 체포되었으며, 1921년에는 만주의 친일단체 보민회(保民會)를 해체시켰다.

그러나 1920년 2월 현정경·현익철 등 다수의 소장년파들이 이탈하여 광한단(光 韓團)을 조직하였으며, 1920년 10월에는 일본군 토벌작전에 의해 본부는 북만주 어무현[額穆縣]으로, 의용대는 안투현[安圖縣]으로 옮겼다. 1921년 어무현에서 조직을 재정비하고, 위원장에 이탁, 경리위원장 이진산(李震山), 총사령관 박용만(朴容萬) 등이 임명되었으나, 박용만이 조선총독부에 귀순하는 등 와해의 길을 걷다가, 1922년 2월 대한독립단·벽창의용대(碧昌義勇隊)·광복군총영·광한단 등과 함께 대한통군부(大韓統軍府)에 통합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