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가요량

생가요량

[ 笙歌寥亮 ]

요약 고려와 조선 전기에 연주되었던 사악(詞樂).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가사와 그 악보가 전한다. 가사의 내용은 왕의 만수무강을 빌고 있으며, 음악은 고취악의 장단배열로 기록되어 있다. 곧 1행이 16정간(井間)인 정간보에 32행으로 기록되었는데, 가사는 1행마다 1자씩 붙어 있으며 8행이 1구를 이루고 가사가 붙지 않은 8행·20행·32행은 길게 끌어나가고 있다. 그리고 4행마다 규칙적으로 박이 들어가고, 장구점은 1행마다 2행씩 규칙적으로 배열하였다. 그러므로 생가요량은 가사면에서는 사악의 형태를 취했으나 장단형은 고취악의 형태를 취하여 '사(詞)'와 '고취악'이라는 서로 상반된 면을 보여주는 특이한 음악이라 할 수 있다.

역참조항목

시용향악보, 정간보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