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흑점수

상대흑점수

[ relative number of sunspots , 相對黑點數 ]

요약 흑점군의 수를g, 망원경과 대기의 조건 등으로 정해지는 상수를 k, 흑점수를 f로 할 때, 상대흑점수 R는 R= k(10 g+ f)으로 나타낸다. 특별히 물리적인 의미는 없으나, 통계적으로 태양의 활동도를 잘나타내서 현재도 이용되고 있다.

흑점상대수, 볼프흑점수, 또는 취리히흑점수라고도 한다. 태양면에서 보이는 흑점군의 수를g, 망원경대기의 조건 등으로 정해지는 상수를 k, 흑점수를 f로 할 때, 상대흑점수 R는 R= k(10 g+ f) 로 나타낸다.

1849년 취리히천문대의 R.볼프는 지름 8cm, 배율 64배의 굴절망원경을 사용하여 태양흑점을 관측하고, R =10 g + f 라는 수식을 만들어 태양흑점의 활동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하였다. 현재는 관측조건에 따라 정해지는 상수 k를 붙여 볼프의 관측값과 잘 맞도록 하고 있다. k는 지름 10cm인 망원경에 대하여 약 1이 된다.

상대흑점수는 특별한 물리적인 뜻은 없으나, 100년 이상 걸친 관측결과가 통계적으로 태양의 활동도를 잘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현재도 이용되고 있다.

역참조항목

요한 볼프, 흑점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