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

[ Sanggamyuriokbugyeongsik(Necklace with inlaid glass ball from King Michu's tumulus) , 慶州 皇南洞 象嵌 琉璃玉 ]

요약 경주시 미추왕릉 지구에서 출토된 목걸이. 1978년 12월 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78년 12월 7일
소장 국립경주박물관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시대 신라시대(5∼6세기)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크기 길이 24cm, 환옥(丸玉) 지름 1.5cm

1978년 12월 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길이 24cm, 환옥(丸玉) 지름 1.5cm이다.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1973년 경주시 미추왕릉(味鄒王陵) 지구 고분공원 조성의 일익(一翼)으로 영남대학 박물관에서 이 일대의 고분을 발굴하던 중 제4호 고분에서 나온 것이다. 출토 당시의 형태는 묘상(墓床)의 자갈 속으로 경식에 사용되던 구슬이 굴러들어가서 원위치를 달리하고 있었으나, 피장자(被葬者)의 목에서 가슴 부분에 윤형(輪形)으로 각종 식옥류(飾玉類)가 배열되고 그 하단 중앙에 곱은옥이 놓여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복원된 현재의 모습은 29개의 청색유리환옥(靑色琉璃丸玉)과 16개의 홍색유리환옥(紅色琉璃丸玉), 1개의 청색관옥(靑色管玉)을 줄에 꿰어달았고 그 밑에 유리제 환옥과 수정대추옥·홍색마노곡옥이 각각 한 개씩 달려 있다. 밑에 달린 투명유리옥 속에는 인물상·새·구름이 감입(嵌入)되어 있어 주목된다. 이는 지금까지 금관총(金冠塚)·금령총(金鈴塚)·식이총(飾履塚) 등에서 상감유리환옥(象嵌琉璃丸玉)이 출토된 예가 있으나 모두 유리환옥에 불규칙한 백색반점(白色斑點), 또는 황색반점이 상감된 것에 비하여 특출하다.

역참조항목

구슬옥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