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초

삼초

[ 三焦 ]

요약 후음까지의 부위.

한의학에서 장부론(臟腑論)의 오장육부(五臟六腑)의 육부의 하나이다. 명문(命門)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것인데, 내용을 이해하기가 어렵다. 이 삼초와 명문은 옛날부터 ‘유명이무형(有名而無形)하고 무형이유용(無形而有用)하다’고 표현하였는데, 다시 말해서 해부학상 실질적인 형태는 없고, 오직 기능만 존재한다는 뜻이 된다. 한방의 내경(內經)에서 삼초는 ‘결독지관(決瀆之官)’이라고 표현하였는데, 생활을 영위하는 데 있어서 운화(運化) ·섭식(攝食) ·배설(排泄)하는 작용을 총칭한다.

삼초는 상초(上焦) ·중초(中焦) ·하초(下焦)로 구분된다. 상초는 심장 ·폐를 중심으로 한 흉부가 되고, 중초는 비장 ·위장 ·간장 등을 중심으로 하는 복부가 되고, 하초는 신 ·방광 등을 포함하는 하복부에 해당된다. 한방 내경에 상초는 ‘여무(如霧)’라 했다. 즉 흉부에 있는 심폐(心肺)는 기(氣)를 다스려 기혈(氣血)의 운화, 다시 말해서 물질동화는 심장에 의한 혈액순환과 폐에 의한 산소공급이 없으면 영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중초는 ‘여구(如漚)’라 하였는데, 즉 비장 ·위장 ·대장 ·소장 등의 기능을 주관하는 중초가 음식물의 섭취와 순화작용을 시키는 동시에 진액(津液)을 흡수하여 오장육부의 전신조직에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횡격막과 S장결장의 사이가 소화기의 영역이며 중초이다. 하초는 ‘여독(如瀆)’이라 하였는데, 체내의 불필요한 수분을 대소변으로 배출시킨다는 뜻이다. 즉 음식물에서 필요한 영양과 수액을 흡수한 연후에 청(淸) ·탁(濁)으로 가려서 탁은 대변으로, 청은 소변으로 배출시킨다. 그래서 위장의 흡수작용이 부전(不全)할 때는 설사가 나고, 방광기능이 부전할 때는 소변불통 또는 야뇨증(夜尿症)과 같은 병증이 생긴다. 다시 말하면 폐물의 배설을 맡은 기관은 신장 ·방광 ·대장 등인데, 이것들은 체강(體腔) 하부에 있다. 침구학에 나오는 경락상(經絡上)의 삼초란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이고, 경혈(經穴:침을 놓거나 뜸을 뜨는 자리)은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에 있는 제1요추극돌기(第一腰推棘突起) 아래 양쪽 각 4.5cm에 있으며, 이 경혈은 음위(陰萎) ·위경련 ·야뇨증 ·구토 ·신장염의 적응혈이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