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그램

홀로그램

[ hologram ]

요약 기준광과 물체광의 간섭에 의한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재현하도록 간섭 줄무늬를 기록한 매체.
홀로그램

홀로그램

홀로그램의 원리

3차원 영상이자, 실물과 똑같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사진이다. 홀로그램은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홀로그래피의 원리는 레이저에서 나온 광선을 2개로 나눠 하나의 빛은 직접 스크린을 비추게 하고, 다른 하나의 빛은 우리가 보려고 하는 물체에 비추는 것이다. 이때 직접 스크린을 비추는 빛을 기준광(혹은 참조광, reference beam)이라고 하고, 물체를 비추는 빛을 물체광(object beam)이라고 한다. 물체광은 물체의 각 표면에서 반사돼 나오는 빛이므로 물체 표면에 따라 위상차(물체 표면에서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이때 변형되지 않은 기준광이 물체광과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때의 간섭무늬가 저장된 필름을 홀로그램이라고 한다. 저장된 영상을 다시 재현하려면 기록할 때 사용된 광선을 다시 스크린 건판에 쏘아야 한다. 이때 파장과 위상이 다른 파들은 아무런 효과가 없이 저장된 홀로그램을 통과해 버리기 때문에 재생 시 사용하는 광선은 기록 시 사용된 기준광과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홀로그램 본문 이미지 1
홀로그래피

홀로그램의 활용

주변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것은 신용카드에 붙어 있는 홀로그램이다. 신용카드에는 위조 방지를 위하여 반사형 홀로그램이 붙어 있어, 카드의 고유한 문양을 표현한 3차원 입체영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매체로도 사용이 되는데, 홀로그램은 평면의 정보를 한 점에 기록하는 것이기 때문에 창문을 통하여 방안을 들여다보듯이 홀로그램의 작은 조각으로도 전체 홀로그램의 모습을 재현할 수 있다. 홀로그램에 저장된 정보는 오염이나 파손에 잘 견딜 수 있고, 용량 면에서도 다른 저장 매체에 비해 우수하다. 이 밖에도 건축, 자동차 설계, 공연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참조항목

홀로그래피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