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지

사지

[ 四智 ]

요약 불교의 유식학파(唯識學派)에서 말하는 여래(如來)의 네 가지 지혜.

대원경지(大圓鏡智) ·평등성지(平等性智) ·묘관찰지(妙觀察智) ·성소작지(成所作智)의 네 가지 지혜이다. 불과(佛果)에 이르러, 유루(有漏:세속)의 마음인 8식(八識:阿賴耶 ·末那 ·意 ·身 ·舌 ·鼻 ·耳 ·眼識)이 변하여 얻어지는 무루(無漏:열반)의 지혜이다.

① 대원경지:제8아뢰야식(阿賴耶識)을 전환하여 얻어지는 지혜는, 크고 둥근 거울이 만물을 비추는 것과 같이 일체의 사물의 참모습을 비추는 지혜로서 그 본체는 부동(不動)이며 다른 세 지혜의 근본이 된다. 유식학의 불신(佛身:自性身 ·受用身 ·變化身)사상과 견주어 보면 자성신(自性身:진리의 몸)의 지혜이다. ② 평등성지:제7말나식(末那識)을 전환하여 얻어지는 지혜는 자타(自他) 일체의 평등을 깨닫고 대자비심과 상응하는 것이다. ③ 묘관찰지:제6의식을 전환하여 얻어지는 지혜는 모든 대상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 관찰하여, 모든 의심을 끊고 자유자재로 설법하는 지혜이다. ②와 ③은 수용신(受容身:진리를 수용하고 自利를 성취한 몸)의 지혜이다. ④ 성소작지:제5신식을 전환하여 얻어지는 지혜는 5관(五官:눈 ·귀 ·코 ·혀 ·몸)의 대상에 대하여 자제하게 되며, 중생의 이익을 위하여 여러 가지 불가사의한 동작 ·사업을 하는 것이다. 이는 변화신(變化神)의 지혜이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