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사기

[ 史記 ]

요약 중국 전한(前漢)의 사마 천(司馬遷)이 상고시대의 오제(五帝)~한나라 무제 태초년간(BC 104~101년)의 중국과 그 주변 민족의 역사를 포괄하여 저술한 통사
구분 통사
저자 사마 천(司馬遷)
시대 중국 전한

사마천(司馬遷)에 의해 한(漢)나라 무제 때 쓰여진 역사서로 본격적인 저술은 BC 108~BC 91년 사이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사마 천은 저술의 동기를  '가문의 전통인 사관의 소명의식에 따라 《춘추》를 계승하고 아울러 궁형의 치욕에 발분하여 입신양명으로 대효를 이루기 위한 것' 으로, 저술의 목표는 '인간과 하늘의 관계를 구명하고 고금의 변화에 통관하여 일가의 주장을 이루려는 것’으로 각각 설명하는데, 전체적 구성과 서술에 이 입장이 잘 견지되었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색은 역대 중국 정사의 모범이 된 기전체(紀傳體)의 효시로서, 제왕의 연대기인 본기(本紀) 12편, 제후왕을 중심으로 한 세가(世家) 30편, 역대 제도 문물의 연혁에 관한 서(書) 8편, 연표인 표(表) 10편, 시대를 상징하는 뛰어난 개인의 활동을 다룬 전기 열전(列傳) 70편, 총 13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태사공서(太史公書)(혹은 태사공기 太史公記)로 불리었으나 위진(魏晋)시대에 와서「사기」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것은 전한 선제(宣帝) 때 그 외손 양운에 의해 세상에 알려졌다.  하지만 일찍이 적지않은 부분이 결락되어 후한(後漢) 반고(班固)의 ≪한서(漢書)≫ 에는 벌써 10여 편이 없어졌다고 하였는데 잃어버린 효무본기(孝武本紀)는 후세인이 봉선서(封禪書)의 기술을 이용하여 보필하였다. 그리고 일부 초고(草稿)가 완전하지 않은 부분은 저소손(椧少孫) 등이 보필하였다. 또한 당나라 사마정(司馬貞)은 삼황본기(三皇本紀)를 저술하여 오제본기(五帝本紀)앞에 넣었다.
 
옛부터 오늘날까지 사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이 저술에 대한 다양한 설과 평가들이 제시되고 있다. 우선 사기의 구성 자체가 '우주의 축영'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이는 사기의 각 편의 숫자가 모두 우주수와 관련될 뿐만 아니라 본기는 북극성에, 세가는 28수(宿)에 각각 대응되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로 사기의 <천관서>에는 천문의 대변화 주기에 따라 인간의 역사도 변한다는 관념이 보인다.

그러나 사기에 대한 또 다른 평가와 시각에서는 사기가 인간과 하늘의 상호관계에서 전개되는 인간의 역사를 냉엄하게 통찰하여 초자연적인 힘 또는 신에서 해방된 인간 중심의 역사를 발견하였다고 보기도 한다. 따라서 사기는 열전에 가장 많은 비중을 할애하였고, 신비하고 괴이한 전설과 신화에 속하는 자료는 모두 배제하고 주로 유가 경전을 기준으로 합리적으로 믿을 수 있다고 판단된 자료만 취록하였다는 것이다. 또 열전의 첫 머리에 이념과 원칙에 순사한 백이(伯夷) ·숙제(叔齊)의 열전을, 마지막에 이(利)를 좇는 상인의 열전 화식열전(貨殖列傳)을 두어, 위대한 성현뿐 아니라 시정잡배가 도덕적 당위의 실천과 이욕적 본능 사이에서 방황하고 고뇌하는 생생한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사기는 ‘살아 숨쉬는 인간’에 의해서 역사가 창조된다는 점을 극명하게 보여준다는 것이다.

사기가 시와 산문의 이상적 결합으로 평가되는 문장을 통하여 더욱 그 빛을 발하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이는 사기가 전체 구성은 물론 세세한 글자 하나하나까지도 치밀한 의도 하에 적어넣어 자연스레 독자를 무한한 감흥으로 이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사전문학의 극치로 평가하는 사람도 있지만, 이것은 단순한 문장의 기교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역사에 대한 이성적 통찰과 감성적인 이해를 통한 추체험의 발로였고 전편, 특히 각편에 삽입된 ‘태사공왈’란에 저자 자신의 평어 부분에 흐르는 예리한 사안과 비판정신도 바로 여기서 비롯된 것이라 보기도 한다.
 
한편, 이 책의 충만한 비판정신을 궁형을 당한 사마 천의 울분에서 비롯된 무제의 비방으로 해석하여 ‘비방의 서’로 부르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인간의 위대함과 어리석음, 이욕 및 폭력과 도덕적 이상의 갈등에서 발전하는 역사를 준엄하게 지적할 뿐, 울분적인 비방의 차원은 결코 아니였다고 보기도 한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