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저항법

비저항법

[ resistivity method , 比抵抗法 ]

요약 지하의 비저항 분포를 알아내어 지하구조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수평탐사법과 수직탐사법이 있는데, 전류를 흘려보내서 전기장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하수, 온천, 광상(鑛床) 탐사는 물론, 일반지질구조 등의 조사에도 널리 이용된다.

지하의 비저항 수평분포를 추적하는 수평탐사법과 수직분포를 추정하는 수직탐사법의 2종류가 있다. 비저항법은 전류를 흘려보내는 방식, 전기장의 측정법에 의해 탐사할 지하구조를 효과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방법 등이 중요하다. 또 비저항법에서는 암석의 전 저항이 탐사 대상이 된다. 암석의 비저항은 그 구조와 공극수(空隙水)의 양 및 질 외에 암석구조 내에 포함된 진흙과 같은 전기전도성 물질의 종류나 양 등에 의하여 좌우된다. 지하수·온천·지열이나, 금속·비금속 광상(鑛床)의 탐사 외에 일반지질구조·토목지질구조·유전구조 등의 조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참조항목

전기탐광

역참조항목

비금속원소, 비저항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