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카메라

비디오카메라

[ video camera ]

요약 텔레비전 수상기와는 반대로, 화상을 전기적 신호(비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재현하는 장치.
비디오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비디오무비라고도 한다. 비디오카메라에서 광학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은 촬상면(target) 전면에 광학상(光學像)으로 결상되는데, 이 광학상은 광전변환에 의해 촬상면의 후면에서는 광학상의 밝기에 상응한 전하상(電荷像)이 된다. 이 때 텔레비전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자빔이 촬상면을 주사하는데, 이에 따라 전하상에 비례하는 전류가 발생하여 이 전류의 변화가 한 영상을 나타내는 비디오신호가 된다.
이 비디오신호를 규격신호(NTSC)에 맞게 처리하여 비디오테이프리코더(VTR) 및 모니터 텔레비전에 연결하면 피사체의 영상이 재현된다. 비디오카메라에서는 촬상장치가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촬상장치의 종류 및 방식에 따라 종류를 구분하며, 성능과 가격이 결정된다.

촬상관식 비디오카메라
촬상관의 수에 따라 3관식·2관식·단관식 등으로 구분하며, 촬상관의 크기에따라 1", 2/3", 1/2" 등으로 구분한다.

① 3관식 촬상관: 피사체상의 RGB(적색·녹색·청색) 3원색 성분을 각 전용 촬상관으로부터 꺼내는 표준방식으로서 화질이나 감도가 좋으므로 방송용 또는 프로용으로 쓰인다. 그러나 시스템이 복잡하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② 2관식 촬상관: 2개의 촬상관 중에서 1개를 휘도신호용으로, 다른 1개를 색신호용으로 사용한다.

③ 단관식 촬상관: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가정용 비디오카메라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피사체상의 RGB 3원색은 1개의 촬상관으로 분해·처리한다.  

고체촬상관식 비디오카메라
촬상관 방식에 비해 작고 가볍다. 기본원리는 광전효과를 이용한 것으로서 입사광에 대응한 광전하가 발생하여 그것을 화소(畵素)를 형성하는 미소한 정전용량에 일시 축적하여 고체주사방식에 의해 그 신호를 읽어내는 것으로서, 광전변환·광전하축적·주사의 3가지 기본기능을 갖춘 것이다.

녹화방식으로는 크게 VHS방식, β방식, 8mm방식이 있다. 비디오는 비디오카메라에 소형 VTR을 내장한 것으로 촬영녹화나 재생이 가능한 제품이다. 8mm비디오는 소형·경량화를 실현하기 위해 주로 고체 촬상디바이스 및 1/4" 테이프를 채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