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굿

부정굿

[ 不淨─ ]

요약 본굿을 하기에 앞서 굿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있었던 모든 부정한 일이나 제당(祭堂)의 불결한 것을 가셔내어 신이 좌정할 수 있는 깨끗하고 신성한 공간으로 정화시키는 의례.
신칼

신칼

전국적으로 행해진다. 부정굿은 먼저 무당이 부정을 물리는 무가(巫歌)를 부른다. 무가의 내용은 외부에서 들어온 부정과 인간생활에 관계된 부정, 제물(祭物)에 묻은 부정 등을 물린 뒤 무속이 신앙하는 신들을 청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어 무당은 바가지에 잿물, 고춧가루나 소금물, 생수를 담아 제당에 골고루 뿌려 물로 깨끗이 씻긴 후 짚단이나 종이에 불을 붙여 불로써 부정을 가셔낸다. 마지막으로 신칼을 던져 칼끝이 밖으로 나갔는가를 보아 부정을 물린 것을 확인한다.

역참조항목

가망굿, 굿, 부정

카테고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