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신피질호르몬제

부신피질호르몬제

요약 21개 탄소로 이루어진 스테로이드(steroid) 화합물.

생체 내에서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된다. 부신피질호르몬의 작용은 아주 광범위하여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및 핵산대사에 영향을 주며, 체내수분 및 전해질 평형 유지에 관여한다. 뿐만 아니라 순환계 ·신장 ·림프계 ·신경계 및 골격근에 작용한다.

또한, 여러 가지의 유해한 자극과 주위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등 생체의 항상성(homeostasis)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호르몬, 즉 글루카곤 및 성장호르몬(GH)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항염증작용도 있다.

부신피질호르몬은 간의 당원(glycogen) 저장능력이나 나트륨이온(Na+) 저류의 강도에 따라 당질 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와 무기질 코르티코이드(mineralocorticoid)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부신피질호르몬이라고 할 때는 주로 전자만을 말하며 간단히 스테로이드(호르몬)라고도 한다.

코르티솔(cortisol) 같은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간의 당원 저장능력, 골격근 작업능력, 림프조직 위축 및 항염증 효과 등이 서로 비례하여 나타나나 나트륨이온 저류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분비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의 영향을 받으며 ACTH분비는 시상하부에서 유리되는 CRH(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에 의하여 조절된다. ACTH는 부신피질의 세포막 수용체에 작용하여 부신피질호르몬의 합성을 촉진한다.

스테로이드의 구조를 변화시키면 체내흡수, 단백결합, 대사, 배설 및 약물의 효능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prednisolone 등 여러 가지 부신피질호르몬 제제(製劑)가 합성되어 쓰이고 있다.
이들 호르몬 제제는 부신피질호르몬의 분비가 부족한 부신피질 기능부전증에 대치 또는 보충요법으로 이용된다. 또한,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각종 알레르기 환자, 결체조직질환, 관절염, 피부질환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대량 장기간 투여하면 당뇨병과 비슷한 임상소견, 알레르기 세균감염에 대한 감수성 증가, 소화성궤양, 근병증(myopathy), 골다공증, 백내장, 성장억제 및 월상안(moon face) 및 월경불순을 나타낸다. 그 밖에 불면증 ·불안 ·흥분 등의 기분의 변화를 일으키며, 심한 경우 정신이상(schizophrenia)까지 유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