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감복

별감복

[ 別監服 ]

요약 조선시대 궁중의 잡직(雜職)인 별감의 차림.

별감은 직책과 소속에 따라 대전 별감, 중궁전 별감, 세자궁과 세손궁 별감이 따로 있었는데, 궁중의 각종 행사에 참여하고 거둥 때는 어가(御駕)를 시위하는 일을 맡았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의하면 별감복은 예복(禮服)과 상복(常服)으로 구분된다. 예복은 임금이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행차와 차비 등 행사 때의 차림인데 다시 관복류(冠服類)와 융복류(戎服類)로 나눌 수 있다.

별감복의 관복류는 자색의 건(紫巾)과 청색 단령(團領), 조아(條兒)가 한 벌을 이루었으나 세자궁 별감은 청색의 건(靑巾)을 쓴다고 하였으므로, 별감의 배속을 건의 색깔로 구별하였다. 후대에 이르면 청색 단령이 흑단령으로, 세자궁 별감의 건색이 청→흑→초록으로 변천한 기록을 볼 수 있다. 별감의 단령은 품직자의 것과 기본은 같으나, 옷감은 주(紬)를 썼고 띠가 조아인 것과 부속품이 달랐다. 별감의 융복은 행차를 시위할 때의 차림으로 홍철릭[紅帖裡]에 황초립을 썼다. 왕조시대 규정에 어가를 따르는 관원은 모두 홍철릭을 입도록 하였다.

별감의 상복은 황초립에 홍직령(紅直領)이며 내습(內襲)은 겹주름철릭이다. 비원에는 이 같은 별감 상복 가운데 홍직령 5점이 소장되어 있어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실물 가운데 3점은 무가 뒤로 넘어가고 두리소매인데, 이것이 본디의 모양이라고 생각된다. 나머지 2점은 무가 뒤로 넘어가지 않고 옆이 막혔으며 직배래인 점이 다르니, 개화기의 두루마기와 같은 모양이며, 복제개혁 뒤에 착용한 것이다.

참조항목

공복, 관복, 별감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