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승

반승

[ 飯僧 ]

요약 승려를 공경하는 뜻에서 재식(齋食)을 베푸는 행사.

이 의식(儀式)은 불교가 한국에 도입되면서부터 시작되었는데, 통일신라시대에는 사찰의 낙성식이 있은 다음, 왕이 몸소 이를 베푸는 일이 많았다. 특히 고려시대에 자주 베풀어졌으며, 그 규모도 성대하였다. 1018년(현종 9)에는 왕이 10만 명에게 반승하기도 하였고, 문종 때부터는 왕이 사찰로 거둥하여 베풀기도 하였는데, 1098년(숙종 3)에는 흥왕사(興王寺)에서 3,000명의 승려를 공양하였다. 또 1157년(의종 11)에는 왕이 승통(僧統) 현희(玄曦) 등 200명의 승려를 궁으로 불러들여 반승한 일도 있었다. 왕이 시주(施主)가 되어 궁중이나 사찰에서 베풀어진 이 행사는 단순히 승려의 공양만을 위하여 열리지는 않았다.

사찰의 낙성과 불상(佛像)의 조성(造成)을 기념하는 등 각종 법회가 있을 때는, 그 의식 절차의 하나로서 대개 이 반승이 함께 행해졌다. 1356년(공민왕 5) 왕의 탄생일에는 왕사(王師) 보우(普愚)를 비롯한 108명에게 반승하였다. 특히, 국가의 태평(太平)을 기원하는 뜻에서 2,3년마다 10월에 열리던 인왕백고좌도량(仁王百高座道場) 때에는 반드시 3일 동안에 걸쳐 3만 명의 승려를 반승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이는 고려 불교의 성격을 잘 말해 준다. 1309년(충선왕 1)에는 왕이 1만 명의 승려를 공양하고, 이어 모후(母后)의 명복(冥福)을 빌기 위하여 민천사(旻天寺)를 창건하고 11년에 이 사찰에서 3,000명에게 반승하였다. 궁중 반승에는 인왕도량 ·소재(消災)도량 등의 명칭이 붙었다.

참조항목

공양, 기신도량

역참조항목

법회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