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교육

민족교육

[ 民族敎育 ]

요약 민족의식을 토대로 민족주의의 관념에 입각하여 민족문화만이 문화의 구체적 ·전체적인 생명체라고 보는 입장의 교육.

민족교육학으로서 체계를 갖춘 교육학은 아직 형성되지 않았으나, 문화교육학을 주장하는 사람들이나 민족주의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견해 가운데는 민족교육학으로서의 체계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대체로 생철학 ·현상학 ·철학적 인간학의 입장에 있는 교육학은 모두 역사적 ·문화적 ·민족적으로 구체적이고 전체적인 입장에서 교육을 생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독일의 E.슈프랑거, G.케르셴슈타이너, O.F.볼노브 등의 교육학에 잘 나타나 있다. 이들의 교육학은 개인적인 입장으로부터 사회적 ·국가적 ·역사적 ·문화적 ·민족적 입장으로 진전하고 있다.

한 국가에서 국민과 민족, 국민정신과 민족정신이 일치되지 않을 때, 또는 한 국민 속에 둘 이상의 민족을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는 민족의 독립을 요구하는 민족주의가 대두되는데, 민족자결주의운동이 바로 그것이다.

역사적으로 민족주의를 표방하여 강력한 국가건설을 꿈꾸던 나치스 독일이나 군국 일본은 세계의 지탄을 받고 패망하였으며, 덴마크이스라엘의 민족교육은 민족문화의 전통을 재건하여 성공을 거둔 본보기가 되었다. 한편 민족의 독립, 즉 식민지 지배의 억압에서 민족의 존엄성과 자유를 지키고 독립을 구한 교육의 대표적 사례로는 일제강점기에 실시된 한국의 민족교육을 들 수 있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