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로학습

미로학습

[ 迷路學習 ]

요약 출발점으로부터 목표까지의 통로가 복잡다기(複雜多岐)하여 미로에 빠지기 쉬운 길을 이용해서 실시하는 학습.
미로

미로

미로를 사용한 학습은,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막다른 길로 잘못 들어가는 횟수 및 목표 도달까지의 시간의 감축에 의하여 평가된다.

연구에 사용되는 미로는 공간미로(空間迷路)와 시간미로(時間迷路)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전자는 출발점 ·통로 ·막다른 골목 ·목표 등의 배치가 공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반면 후자는 고정된 배치가 없이 바른 통로가 시간적으로 바뀌는 것으로, 예컨대 최초의 시행(試行)에서는 오른쪽 통로로 가면 통과되었는데, 다음 시행에서는 앞서 통과되었던 곳이 막히고, 왼쪽 통로가 열려 있는 식으로, 바른 통로가 시계열(時系列)로서 일정한 타입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미로는 실험에 사용되는 동물에 따라서 각각 그에 적합한 것이 고안되어 있으며, 구조도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쥐에게 사용하는 것으로는 낭하식(廊下式) ·고가식(高架式) ·수조식(水槽式) 등이 있는데, 수조식 미로인 경우, 쥐는 물에 잠긴 통로를 피해서 건조된 목표에 도달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미로를 구성하고 있는 단위(單位)의 형태에 따라 T형 ·U형 ·Y형 ·직선형 ·사각형 및 원형 등으로 구별된다. 또 구성단위의 수를 증감해서 미로의 길이를 바꾸어 난이도를 조정할 수도 있는데, 최근에는 점차 한 단위의 간단한 미로가 실험에 쓰이게 되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미로학습의 경우, 간단한 것은 곧 학습에 익숙해지기 때문에 눈을 가리고 촉감으로 학습하도록 손가락미로나 손미로가 고안되어 있다. 눈을 가리지 않고 하는 경우에는, 미로를 한층 더 복잡한 것으로 하거나, 전격(電擊)이나 버저(buzzer) 등을 이용해서 길을 잘못 들었다는 것을 알리는 경우가 많다.

또 정신미로(精神迷路:非空間迷路)라고 해서 전적으로 언어를 통해 제시되는 미로도 있다. 이 경우 실험자는 미리 미로의 각 통로에 이름을 붙여 놓고, 피험자(被驗者)에게 가령 ‘A로 갈 것이냐 B로 갈 것이냐’를 물어, 바른길을 대답하면 다음 선택을 시키고, 잘못된 길을 대답하면 되풀이해서 선택시키는 것이다.

미로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일반적으로, ① 1시행(試行)에 소요된 시간, ② 한 번 시행에서 잘못하는 횟수(막다른 골목으로 들어간 횟수)가 모두 감소된다. 따라서 이 수치가 미로학습의 진행을 표시하는 스코어(score)가 되는데, 이밖에, ③ 일정한 학습규준(學習規準)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행 횟수, ④ 각 시행에서 달린 거리 등도 스코어로 채택된다.

공간미로에서는 미로가 회전해서 목표의 위치가 이동해도 그 전 목표의 방향을 고집하는 목표방위(目標方位:goal orientation)가 있다. 또 막다른골목으로 잘못 들어가는 실수가 목표에 가까운 지점에서 감소된다든지 직선미로에서 목표에 접근함에 따라 주행시간이 감축되는 경향이 있어, 이를 가리켜 일반적으로 목표구배(目標勾配:goal gradient)라고 한다.

시간미로에서는 좌우 교대반응(交代反應)이 정착하는 경향이 있어, 원심성(遠心性) 스윙이라고 한다.

참조항목

목표구배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