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기상학

물리기상학

[ physical meteorology , 物理氣象學 ]

요약 물리학적으로 기상현상을 설명하려는 기상학의 한 분야로 19세기 중엽까지 기상학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기상학의 발전으로 지금은 기초과목의 하나로 되어있다. 기상광학, 대기전기학, 기상음향악, 대기복사학, 구름 및 강수 물리학이 포함되어 대기 성분과 물리적 성질이 연구 대상이다.

기상광학 ·대기전기학 ·기상음향악 ·대기복사학, 구름 및 강수(降水) 물리학 등이 포함된다. 대기의 성분이나 물리적 성질도 연구대상이 된다. 기상열역학은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기상역학은 포함시키지 않고 별도로 다룬다.

19세기 중엽에 새로운 독자적 방법을 도입하여 종관기상학(綜觀氣象學)이 뿌리를 내리기까지의 기상학은 대기현상의 물리적 설명을 위한 물리기상학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지만, 기상학의 응용이 광범해지고 크게 발전된 오늘날에는 기초과목의 하나로 되어 있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