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하케이블반송방식

무장하케이블반송방식

[ non-loading cable carrier system ]

요약 유선반송통신 방식의 일종.

통신선로 도중에 장하코일을 삽입하여 선로의 감쇠를 경감하도록 한 장하케이블은 전파속도가 느리고 위상변형 ·반향현상(反響現象) ·고주파에서의 전송이 곤란하다는 등의 결점이 있으므로, 이 장하코일을 제거해서 이런 결점을 없앤 것이다. 무장하란 장하케이블에 대응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장하케이블은 케이블의 전선에 코일을 접속함으로써 전화의 음성신호 감쇠를 적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서 시외전화 회선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이것에 대해 무장하케이블은 코일을 제거하고, 케이블에 의한 감쇠와 음성의 주파수에 의한 감쇠량의 차이를 증폭기를 사용해서 증폭하고 보상함으로써, 장거리의 다중통신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1930년경에 처음으로 제안된 이래 시외전화 회선의 주가 되었으나 보다 더 양질의 회선을 제공할 수 있고 다중도(多重度)도 높은 동축케이블이 출현하여, 현재는 보조적인 역할로 축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