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수경종요

무량수경종요

[ 無量壽經宗要 ]

요약 신라의 원효가 인도의 승려 강승개(康僧鎧)가 한역한 《무량수경》의 중심사상을 집약하고 이를 해석한 주석서.
구분 주석서, 불서
저자 원효
시대 신라시대

1권. 그는 전체의 내용을 대의(大意) ·경지종치(經之宗致) ·약인분별(略人分別) ·취문해석(就文解釋)의 4부문으로 나누어 주석하고 있다. 그는 대의에서 예토(穢土)와 정토(淨土)는 일심(一心)에서 나온 것이며, 생사(生死)와 열반(涅槃)이 대립되는 극(極)이 아니라고 하였으며, 경지종치에서는 이 경전의 핵심사상이 정토의 인과(因果)를 밝히는 데 있으며, 의도하는 바는 어떻게 왕생하느냐 하는 문제를 해명하는[攝物往生] 데 있다고 하였고, 약인분별에서는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를 해설하고 있다. 그는 화엄종(華嚴宗)의 입장에서 이 경전을 해석함으로써 독보적인 주석을 하였다.

참조항목

무량수경, 원효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