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니지먼트

매니지먼트

[ management ]

요약 관리(管理).

영리적 상품생산의 조직체로서의 자본주의 경영을 기업이라고 하며, 기업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위하는 활동은 ① 다수 노동자의 협력에 의한 직접적인 상품생산 활동, ② 이 협동적 생산활동을 계획 ·통제하는 활동의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①을 작업이라 하고 ②를 관리라고 한다. 매니지먼트란 넓은 뜻으로는 관리를 뜻한다.

이와 같은 관리는 활동 범위가 전반적이냐 부분적이냐에 따라 다음의 두 종류로 대별된다. 하나는 전반 관리이며, 다른 하나는 부문별 관리이다. 전자는 기업의 전반적인 최고 방침을 결정하고 이를 실시하게 한다. 조직체의 최고단계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최고관리라고도 한다. 이에 대하여 후자는 최고 방침의 범위 내에서 부문별로 부문방침을 결정하고 이를 실시하게 한다. 조직체의 중간단계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중간관리라고도 한다. 매니지먼트가 어드미니스트레이션(administration)과 대비해서 쓰이는 경우에는, 후자가 전반관리 또는 최고 관리를 뜻하는 데 대하여, 전자는 부문별 관리 또는 중간관리만을 의미한다. 이를 좁은 뜻의 매니지먼트라고 한다. 이 좁은 뜻의 매니지먼트는 부문의 세별(細別)에 따라 세분된다. 또한 대기업의 경우는 부문의 계층이 증가하기 때문에 중간관리를 다시 세분하여 중간관리와 하급관리로 나눈다.

일반적으로 관리에는 작업을 계획하고 통제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이 기준으로 비용과 시간을 들 수 있는데, 비용은 가치적 기준이고, 시간은 실체적 기준(實體的基準)이다. 비용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비용적 관리라고 하며,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시간적 관리라고 한다. 비용적 관리는 내부관리 또는 내부통제의 실체를 이루며, 이에 대하여 시간적 관리는 과학적 관리의 실체를 이룬다.

또한 관리는 개개의 생산요소에 관해서 능률적인 조달 ·이용을 실현하기 위한 계획 ·통제 활동을 의미한다. 기계관리 ·공구관리 ·재료관리 ·임금관리 등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생산요소별의 요소적 관리는 현실적으로는 부문별 관리에 통합된다. 매니지먼트는 최고 관리자(경영자) 또는 중간 관리자 계층을 총칭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