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 Daegwangbojeon Hall of Magoksa Temple, Gongju , 公州 麻谷寺 大光寶殿 ]

요약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에 있는 법당. 1984년 11월 30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4년 11월 30일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마곡사 (운암리)
시대 백제 의자왕 2년(643)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1984년 11월 30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백제 의자왕때 지어진 사찰로 신라말부터 고려 전기까지 폐사되었다가 고려 명종 2년(1172년)에 보조국사가 다시 절을 세웠다. 그 후 임진왜란이 발생하면서 다시 폐사되었고, 이후 조선 효종 2년(1651년)에 절을 다시 고쳐지었다. 

단층 다포계(多包系)의  팔작지붕으로 지어졌다. 전면 5칸, 측면 3칸. 마곡사대웅보전(大雄寶殿)의 아래쪽에 있는 법당으로, 내사출목(內四出目) · 외삼출목의 형식을 갖추었다. 외부 전면의 살미첨차(檐遮)는 3앙 1수설식(三仰一垂舌式)인데, 앙설(仰舌:쇠서받침) 위에 연봉을 조각하였다. 반면에 후면의 첨차는 중첩된 교두형(翹頭形)으로 되어 있고, 내부는 연화(蓮花)로 조각하였으며, 가구(架構)는 무고주(無高柱)와 1 · 2고주의 합성으로 된 특이한 형식이다.

역참조항목

태화산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공주 마곡사에 있는 법당 보물 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의 마곡사에 있는 법당으로 대웅보전과 함께 마곡사의 본전에 속하는 건물이다. 처음 지어진 시기는 알 수 없으며 임진왜란으로 폐사되었다가 1813년(순조13)에 다시 지어졌다. 대광보전은 정면5칸, 측면3칸의 단층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로 대웅보전 건물 아래쪽에 위치한다. 법당 내에는 진리를 상징하는 비로자나불이 모셔져 있다. 정면 5칸에는 모두 3짝씩의 문이 달렸으며 정면 가운데 칸 기둥 위에는 용머리가 조각되어 있다. 안과 밖으로 구성과 장식이 풍부하고 건축 수법이 독특하여 조선후기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출처: doopedia